퇴원 후 정신질환자 어떻게 관리하나? 딜레마 빠진 가족들
퇴원 후 정신질환자 어떻게 관리하나? 딜레마 빠진 가족들
  • 임형빈 기자
  • 승인 2019.01.07 19: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자가 센터 거부하는데 ... 여러 사례관리 연구 개선해야
병원과 지역센터 연계 강화할 법안 마련해야

“퇴원 후의 당사자 관리가 너무 힘듭니다. 퇴원 전의 도련님 모습은 너무 얌전해 병이 다 나은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퇴원 후 갑자기 돌변해 세간살이를 부수고 아버님, 어머님한테 고성으로 달려들기 일쑤입니다. 조카들에게 막말을 마구해서 아예 근처에도 못 가게 합니다. 다시 입원을 시키려 해도 본인의 동의 없이 재입원이 안 된다 하니 이거... 환자는 물론이고 가족들한테 위해가 되니 어떻게 관리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조현병 당사자를 시동생으로 두고 있는 김현희(40.여)씨의 말이다. 이렇게 퇴원 후의 정신질환자 모습이 극명해 가족들이 애를 태운다. 집에서 외래진료를 관리하고 있지만 본인이 약 먹는 것을 중단하고 병원 외래도 스스로 끊어버린다.

입원 중에는 병원의 각종 프로그램과 치료로 증상이 완화되지만 퇴원 후에 자의로 단약을 하는 등 치료를 거부하는 게 다반사다. 보호자들은 당사자들이 병원의 연계로 지역정신건강복지센터에 참가하기를 바라고 있으나 강제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센터 연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센터 또한 정신병원에서 퇴원 후 정신질환자들을 관리하기 위해 일부 영악한(?) 정신질환자들의 이중 잣대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정신질환자들은 사례관리법에 따라 퇴원하면 정신건강복지센터와 보건소에 통보해야 되지만 강제사항이 아니라 의무사항이라 그들을 케어하기 힘들다. 병원에서의 장기입원으로 정신과에 대한 편견을 갖게 된 환자들은 '정신'이란 단어가 들어간 지역센터에 가입하기를 꺼린다.

그렇지만 그들을 방종의 지대에 놓여있게 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크다. 정신질환자들은 자기만의 세계에 갇혀 단약을 해 증세를 악화시키는 사태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6년 정신병원에서 퇴원한 중증 정신질환자 5만4천152명중 퇴원한 지 한 달 안에 한 번이라도 정신과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는 63%에 불과했다. 약 2만 명의 중증 정신질환자가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셈이다. 계속 치료를 요하는 정신질환자들이 스스로의 망상에 빠져 병원과 지역센터의 관리를 거부하는 것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지역정신건강센터에 환자의 동의 없이도 그들의 진료기록이 공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역센터에서도 당사자들에 대한 기초 자료가 있어야 맞춤식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 다양한 사례를 기초로 당사자에 대한 맞춤형 교육형태로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동생이 병원에서 퇴원 후 처음에 어떻해야 하나 당황했는데 지역센터를 연계해줘서 오류 없이 센터의 교육 방안에 적응하고 있습니다. 병원과는 다른 치유 프로그램이라 걱정이 많이 됐는데 여러 프로그램에 동생이 스스로 참가하니 퇴원 후의 관리가 수월케 됐습니다. 좀 더 많은 지역정신건강센터의 연계와 활동이 기대됩니다.”

조현병 당사자를 동생으로 둔 우미영(28.여)씨의 말이다. 이처럼 신속하게 병원과 지역센터가 자료를 공유하는 게 중요하지만 아직도 병원과 지역센터의 연계가 부족해 정신질환자의 중간 관리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다.

지자체에서 입원 환자의 기본 데이터를 지역정신건강복지센터에 정신질환자 동의 없이라도 공유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것이 사각지대 안에 놓여있는 수많은 정신질환자들을 우리의 관심으로 인도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선진국에서 이루어지고 활용하는 병원과 지역정신건강센터의 연계가 한국사회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많은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조근호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사업과장은 “환자가 병원에서 입원과 치료를 마쳤을 때 지역사회와 센터가 유기적으로 연결된다면 환자가 병원을 나와서 외래진료를 잘 받고 있는지 필요한 사회적응 훈련이 있는지 맞춤형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