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 대신 바로 정신병원으로 입원하는 정신장애인들, 연간 1만 명
외래 대신 바로 정신병원으로 입원하는 정신장애인들, 연간 1만 명
  • 박종언 기자
  • 승인 2020.04.14 19: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증상 악화된 후 입원하는 비율 높아...강제입원에 트라우마 발생

외래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입원을 함으로써 치료를 시작하는 중증정신질환자는 연간 1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이 발표한 정신건강동향에 따르면 초발환자 중 정신병원을 최초 치료로 시작한 인구는 조현병·분열형의 경우 6천37명(22.4%)이었다. 이어 양극성정동장애 3천447명(10.9%), 재발성우울장애 1천560명(4.8%)였다.

이는 지역사회에서 증상이 악화되기 전에 조기치료를 유도하기 위한 사회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치료 이용을 비자발적(강제적) 입원치료로 경험한 초발환자는 입원에 대한 트라우마가 생겨 지속적 치료를 어렵게 하고 재발 위험 요인으로 작용해 초발환자의 첫 의료경험이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지원단은 “초발환자 및 가족대상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한 결과 정신의료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낙인으로 인한 두려움으로 정신의료 서비스는 최후의 선택이 된다”며 “이는 결국 증상 악화로 비자의적인 입원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정신증 미치료 기간(DUP)이 현저히 늦어지면서 조기발견에 대한 중요성도 제기됐다. 이 기간이 길어질 경우 회복 가능성이 낮아지고 기능 저하와 음성 증상이 더 심해져 회복을 위해 더 많은 비용이 소비되고 질병 만성화로 장기입원을 조장한다는 분석이다.

이처럼 정신증 미치료 기간이 길어지는 원인으로는 정신질환에 대한 대중의 인식 부족이 우선으로 꼽혔다. 또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차별로 인해 사회적 낙인과 불이익에 대한 염려가 치료 시기를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조기 발견을 위한 정부 부처간 협력의 미비, 조기 발견 및 조기 중재 지원 체계 수립의 부족 등이 제기됐다.

지원단은 “증증 정신질환자들의 증상 악화 전 조기치료를 유도하고 의료 이용 경험에서의 트라우마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신건강 문제 조기 발견 및 조기 중재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며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차별·편견 분위기를 개선하는 노력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