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특성은 ‘공포’와 ‘불안’...시민 수칙 준수가 감염 불안 낮출 수 있어”
“코로나19 특성은 ‘공포’와 ‘불안’...시민 수칙 준수가 감염 불안 낮출 수 있어”
  • 김근영 기자
  • 승인 2020.06.18 18: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유튜브 웹 심포지엄 개최
코로나가 남긴 마음의 상처와 변화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박해받는다는 편집증적 사유서 벗어나 심리 균형 찾아야
잊혀지기 쉬운 존재에 대한 관심과 배려는 우리의 생존 방식
편집증적인 방어기제에서 벗어나 건강한 방어기제 사용 필요

서울시자살예방센터와 서울시COVID19심리지원단은 지난 13일 유튜브를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우리의 깊은 마음을 어떻게 흔들어 놓았는가’를 주제로 웹 심포지엄(Web Symposium)을 개최했다.

이번 웹 심포지엄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재난 상황에 맞춰 국내 및 해외 연자를 초청해 강의 및 질의응답을 온라인으로 생중계하는 방식을 취했다. 코로나19로 발생하는 여러 현상들과 시민들의 불안과 공포를 전문가들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계기라는 평가다.

우이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죽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불안, 아무도 만날 수 없고 단지 전화나 화상통화로 만족을 해야 한다는 것이 더욱 더 외로움과 우울증을 증폭시킨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이런 바이러스로 인해 과거 나의 일상이 얼마나 아름다운 것이었는지를 깨닫고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을 마음에 품는다면 지금 주어진 것만큼의 행복도 열심히 감사하고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어차피 또 없어질 텐데 만들면 무슨 소용이 있어’라는 마음으로 자신만의 쾌락을 추구한다면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삶에서 점차 퇴행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현수 서울시COVID 심리지원단장은 “(코로나19)의 불확실성과 감염병의 전형적인 특성인 ‘공포와 불안’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모두가 하루하루를 어렵게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감염 재난의 7가지 특징으로 ▲누구나 걸릴 수 있다 ▲보이지 않는다 ▲전염된다, 죽는다 ▲잘못된 정보 ▲걸린 사람은 낙인 ▲추방된다 ▲약이 없다를 들었다.

또 이 같은 과잉 공포를 이용해 이득을 보는 사람들이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김 단장은 “감염병을 만드는 3대 불안인 감염 불안, 전염 불안, 낙인 불안에 대해서도 말하며 시민의 수칙을 잘 지키는 것과 성실함, 안전감, 사회적 노력이 감염 불안을 낮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감염병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며 공동체와 민주주의, 정보의 투명성, 인권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준수의 중간선을 찾아야 한다”며 “모든 것이 박해받는 것이 아니냐는 편집증적인 생각에서 벗어나 나라마다 각 개인의 심리마다 균형 잡힌 행동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불확실성은 정확하고 규칙적인 정보와 안정, 분노와 관련해서는 심리 스트레스 완화 방법과 공동체적 해결책, 혼란은 과학적 지식과 정확한 메시지 제공, 집단행동은 평등한 과정과 결과 제공, 종말은 과학적 지식과 바람직한 사회적 방향을 통해 개인과 사회가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기연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대우교수는 비대면 서비스과 관련해 “의사소통 채널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전문성과 역량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 교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우리는 연결돼 있는 존재”라며 “우리라는 것을 재확인하고 ‘잊혀지기 쉬운, 가려지기 쉬운 곳’의 사람들에 대한 관심은 배려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생존”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절망 속에서 희망을 만드는 최소한의 개인 역할은 윤리적 태도”라고 말했다.

신샘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문명이 발달하면서 인간은 죽음까지 길들이려는 발전을 했고 과학과 의학의 발전으로 길들여진 죽음은 코비드19 시대에 위협을 받고 있다”며 “루머와 사실을 구별하고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검증된 정보를 전달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용석 이용석정신건강의학과 원장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협은 우리 마음 속 깊은 곳에 있는 작은 것을 자극한다”며 “멸절(滅絶)이라는 불안이 극도의 불안인데 코로나 바이러스는 이 멸절 불안을 자극한다”고 말했다.

이어 “잘 알지 못하고 모호하기 때문에 더욱더 공포를 갖게 된다”며 “이 과정 속에서 본인을 지키기 위해 편집적 방어기제를 생존을 위해 사용한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또 “친구들과의 수다, 호프, 여름날의 즐거움 등 다양한 즐거움을 상실하기 않기 위해서는 편집증적인 방어기제에서 벗어나 건강한 방어기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