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경찰청, 지난 5년간 자살사망자 7만 명 전수조사 착수
복지부·경찰청, 지난 5년간 자살사망자 7만 명 전수조사 착수
  • 박종언 기자
  • 승인 2018.05.08 22: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살 빈발지역, 지역별 자살특성 등 새로운 데이터 수집
결과 통해 자살예방사업에 과학적 근거 마련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은 경찰 변사자료를 활용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간 발생한 자살사망자 7만 명에 대한 전수 조사에 들어간다고 8일 밝혔다.

변사자료는 경찰 등이 사고에 의해 사망사건 발생 시 사망원인에 대해 조사한 기록을 의미한다.

이번 ‘자살사망자 전수 조사’는 지난 1월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에 따라 추진되는 것이다.

전수조사는 중앙심리부검센터 소속의 정신건강전문요원 등 전문 조사요원 30명이 254개 경찰관서를 방문해 자살사망자에 대한 경찰 변사사건 조사 기록을 확인하고 자살 원인 파악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한 정보를 분석해 자살의 추정 원인 및 특성 등 효과적인 자살 예방 사업 추진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조사는 기존의 자살률 통계와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조사를 보완하는 것으로 지역별 자살 특성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전수조사는 기존의 자살 통계 자료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읍·면·동 마을단위의 자살 특성, 관내·외 거주 여부, 정확한 사망 장소와 사망 빈발 지점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 자살유가족의 신청과 진술에 의존하는 심리부검 조사와 달리 다양한 사람의 진술에 의한 더 객관적인 정보를 단시간 내에 비용효율적인 방법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건복지부는 전수조사를 본격 실시하기 전 3개 시군구에 대해 자살사망자 전수조사를 시범적으로 실시해 보았다.

그 결과 지역의 자살문제는 성별·연령별 자살률, 자살 원인, 자살 수단 및 방법, 자살 장소 등 전국적인 동향과는 다른 특수성을 갖고 있었다.

또 ▲자살 발생 지점 ▲자살 수단 및 방법 ▲자살의 원인에 있어 지역의 특성이 타 지역과 확연히 구분되는 경우 등 해당 지역의 자살 특성을 자살예방 사업에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복지부가 사전 전수조사한 지역 3곳을 보면 A지역은 자살사망자의 36.5%가 한 지역에 집중돼 있었고 특히 B읍은 46.2%가 야산 및 교회지역에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 지역 거주자 비율도 53.9%로 높았다.

C지역의 경우 D동은 자살자가 27명으로 다른 동 평균 9.81명 대비 3배 이상 높았다. 또 20대 비율이 두 배 이상, 동거인이 없는 상태에서 사망한 경우가 62.9%, 번개탄 사용은 29.6%로 나타났다.

E지역은 지난 2년간 자살사망자 152명 중 40.1%가 특정 지역에 집중돼 있었다. 자살방법 중 투신 사망은 53.3%로 동 지역 평균의 4배에 이르렀다. 또 투신장소의 75%가 아파트였으며 동일 아파트 내 투신 사건도 다수 발생했다.

이번 전수조사 결과가 완료되면 각 지자체는 관리해야 할 지역이 있는지, 어떤 자살수단과 대상에 집중하여 자살예방을 추진해야 할 지를 파악해 효과적인 자살예방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전수조사는 2년에 걸쳐 전국 254개 경찰관서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올해는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률, 조사 접근성 등을 고려해 서울, 충남(세종 포함), 충북, 강원, 대전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특히 자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실업률이 특히 높거나 높아질 우려가 있는 거제·통영·군산 지역을 우선 조사대상 지역으로 선정했다.

시기별로 서울은 이달 2일 서부 중부, 남대문경찰서를 시작으로 5~8월까지 진행되며 이어 거제·통영·군산은 9월, 충남·충북 10~11월, 강원 11월, 대전 12월 순으로 진행된다.

경찰청은 실효서 있는 자살예방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변사자료 및 조사 장소 제공 등 전수조사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 전명숙 과장은 “이번 전수조사를 통해 각 지자체가 해당 지역의 자살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인 자살예방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건강보험 데이터 등 기존 공공데이터와 연계하고 지역별 실업률 등과 비교·분석해 자살률 감소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많이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