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테러리즘... 제약사는 당사자를 식민화하기에도 모자라 이제 전 세계를 식민화하려는가
[코로나19] 백신 테러리즘... 제약사는 당사자를 식민화하기에도 모자라 이제 전 세계를 식민화하려는가
  • 김근영 기자
  • 승인 2021.11.14 16: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0월. 로버트 말론 박사(mRNA 백신 연구의 선구자), 이라 번스타인 박사(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폴 알렉산더 박사(미국 보건복지부 자문위원), 피터 맥컬로 박사(베일러대 의학센터 교수), 피에르 고리 박사(위스콘신대 교수), 거트 반덴 보쉬 박사(바이러스 및 백신 학자, 전 GAVI 프로그램 매니저)를 포함해 세계 9100명 이상의 의사와 과학자들이 코로나19 정책 입안자와 의료 당국의 무리한 방역행위의 치명적 결과를 시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로마 선언"에 서명했다.

선언문을 낭독한 로버트 말론 박사는 서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 선언문은 정부, 기업, 제약회사, 대기업의 간섭, 보복 또는 검열을 두려워하지 않고 환자를 치료할 권리와 환자가 이러한 치료를 받을 권리를 위해 투쟁하는 의사들의 외침입니다. 우리는 이들이 환자-의사 관계의 신성함과 통합성, '먼저 해를 끼치지 말라'는 히포크라테스의 기본 원칙과 원인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의학적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환자와 의사의 자유를 존중해줄 것을 요구합니다.”

지난 11월 2일 영국의학저널(BMJ)은 화이자와 백신 관련 임상시험을 담당하던 하청업체 벤타비아, 그리고 미국 식약처와 미국 식품의약청(FDA)과 관련한 대규모 사기가 내부 고발자들을 통해 폭로됐다고 밝혔다. 영국의학저널(BMJ) 출처 바로가기(클릭)

폭로된 내용은 다양하다. 우선 임상시험에서 이중맹검의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다. 누가 백신을 접종했고 누가 위약을 받았는지 알고 있는 상태에서 시험이 진행됐다. 또한 부작용은 비정상적으로 은폐됐고, 부작용 환자들에 대해 부실한 조치를 취했다.

또한 코로나19 증상을 보이던 '백신접종자'에게는 PCR검사를 하지 않았다. 벤타비아 측이 화이자 측에 수차례 문제를 제기했으나 별다른 변화가 없었고, FDA에도 알렸으나 FDA 측도 사실을 묵인했다. FDA에 해당 메일을 보내고 답변을 받은 그날 이 내용을 알린 당사자는 즉시 해고됐다. 그의 해고 몇 주 뒤 FDA는 화이자 백신을 긴급승인했다.

BMJ가 공개한 화이자 게이트를 두고 의료계는 별것도 아닌 것을 가지고 소란을 떤다고 반응했다. 하지만 상식적으로 내부고발이 나오면 화이자나 FDA는 철저히 내사에 착수하고 문제를 시정했어야 한다. 하지만 그들은 묵과했고, 오히려 더 나아가 문제의 업체와 4개의 추가 임상시험(임산부, 어린이 대상)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

(c) Public Citizen
화이자 등 거대 제약회사는 여전히 공공보건보다 금전적 이득을 중요하시하고 각국 정부들이 요구조건을 받아들이도록 갑질중이다. (c) Public Citizen

화이자가 남미 국가들을 상대로 요구한 백신 공급 계약조항은 더욱 충격적이다. 한 언론은 이를 두고 '백신 테러리즘'이라고 평했다.

화이자라는 거대 제약회사는 백신 공급 요구사항을 들이밀며 각국을 상대로 갑질을 일삼고 있다. 화이자는 향후 벌어질 수 있는 모든 법적 분쟁에서 면책권을 요구했으며, 화이자가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요구한 조건은 무려 '국가은행 보유고, 군사기지, 대사관 건물 등을 담보로 제공하라'였다.

화이자가 브라질을 상대로 요구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브라질은 국가가 보유한 해외자산들에 대한 주권(운용권)을 화이자에 넘긴다. 둘째, 브라질의 국내법은 화이자에 적용되지 않는다(치외법권). 셋째, 브라질은 백신 공급 일정이 지연됨을 감안한다. 넷째, 백신 공급 일정이 지연되어도 화이자는 어떠한 불이익도 감수하지 않는다. 다섯째, 백신으로 인한 모든 부작용 사례에서 화이자는 민사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

화이자 등 거대 제약회사는 여전히 공공보건보다 금전적 이득을 중요하시하고 각국 정부들이 요구조건을 받아들이도록 갑질중이다.

화이자가 체결한 기밀 계약 문서 등 일부를 살펴보면 더욱 놀랍다. 이 계약은 총 9개국과 동일한 내용으로 체결됐다. 절박한 상황에 놓인 국가들은 화이자의 노예계약에 가까운 조건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퍼블릭 시티즌(Public Citizen)'이 입수한 화이자 불평등 계약서의 가장 핵심적인 불평등 조항 6가지는 다음과 같다. 출처: Pfizer’s Power(링크 클릭)

첫째, 화이자는 (백신 공급을 받는 국가) 정부를 침묵시킬 권리를 지닌다. (c) public citizen
첫째, 화이자는 (백신 공급을 받는 국가) 정부를 침묵시킬 권리를 지닌다. (c) public citizen

"첫째, 화이자는 (백신 공급을 받는 국가) 정부를 침묵시킬 권리를 지닌다." 이들은 정부가 백신 공급 계약 조건에 발설할 수 없도록 조항에 조치를 취해뒀다. 이는 모든 계약사항들이 공개될 수 없는 이유의 핵심이자 현 한국정부가 입을 꾹 다물고 접종률에 혈안이 되는 모습과 일치한다. 화이자의 서면 승인이 없다면 백신 계약 건에 대한 어떠한 내용도 국민들에게 공개할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사기업이 한 나라의 정부에 입마개를 채우는 상황인 셈이다.

"둘째, 백신 공급을 화이자가 관리한다." 백신을 구매하는 주체(국가)가 아닌 화이자가 공급에 대한 모든 결정을 내린다는 의미다.

"셋째, 화이자는 자사의 백신에 대한 특허 포기 조항으로부터 면제된다." 지적재산권 절도나 다름없는 이 조항은 회사가 내야 할 돈을 각국 정부들에 전가하는 셈이나 마찬가지다.

"넷째, 백신으로 인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법정이 아닌 사설 중재자를 통해 비밀리에 중재를 진행한다."

"다섯째, 화이자는 백신 비용 지불보장을 위해 공공자산을 압류할 수 있다."

"여섯째, 중대한 결정권은 모두 화이자가 갖는다."

다섯째, 화이자는 백신 비용 지불보장을 위해 공공자산을 압류할 수 있다. (c) Public Citizen
다섯째, 화이자는 백신 비용 지불보장을 위해 공공자산을 압류할 수 있다. (c) Public Citizen

브라질의 경우 계약내용을 발설하지 말라는 첫째 조항을 위반하면 계약 물량 전체 대금을 즉시 지급해야 하고, 동시에 남은 물량을 공급하지도 않는다는 내용도 담겨있었다.

만일 누군가가 화이자의 백신 특허 포기 면제조항을 문제삼아 지적재산권 강탈이라고 주장하면 어떻게 될까?

정부가 나서서 화이자의 특허권을 지키기 위해 대신 싸워야 하는 구조다. 심지어 4개국이 화이자의 백신 특허권 보호조항에 합의했다. 다시 말해 이 4개국은 화이자의 지적재산권 절도나 다름없는 만행을 옹호하고 지키기로 합의한 것이다. 콜롬비아는 이러한 갑질 계약의 희생국들 중 하나다. 우리나라 정부는 과연 어떤 계약을 체결했을까?

전 세계를 상대로 갑질을 일삼으며 건강권을 침해하는 화이자의 끔찍한 만행으로 희생된 사람들은 지난 수십년 동안 제약회사와 의료권력에 희생된 정신장애 당사자의 모습과 꼭 닮았다. 현재의 K-방역이 과연 이러한 불공정 계약과 무관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감염병학 분야의 현존하는 최고 권위자 중 한 사람인 예일대 하비 리쉬(Harvey Risch) 박사는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대부분의 의사들은 연구자료 원문을 찾아 공부하면서 자료를 얻거나 스스로 판단을 내리고 있지 않다"며 "이들 대부분은 제약회사나 사회에서 주어지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황을 판단한다. 또한 입장상 백신을 비판하면 잃을 것도 많은 관계로 대부분의 의사들은 떠먹여진 정보 너머에 별로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현재 미디어에 노출되는 의료 전문가들의 말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의사들이 제약사의 연구자금을 받거나 제약사의 입맛에 맞는 연구를 앵무새처럼 읊어대는 것은 기정사실이며 돈의 논리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양심적인 의사들은 별로 없다.

역사적으로 정신장애 당사자들은 증상완화를 위해 심각한 부작용을 감수하며 유해한 약물을 억지로 복용했다. 그럼에도 세상은 아랑곳 않고 정신장애인의 목소리를 외면했다. 제약회사의 운명의 사슬은 튼튼하다. 주권 침해 논란에도 불구하고 백신 대금을 요구하며 이제 미성년자들에게 백신 접종을 강요하고 있다. 심지어 그 운명의 사슬은 비당사자, 곧 일반인의 목을 조여오고 있다.

아직도 제약회사의 운명의 사슬은 튼튼하다. 그 사슬을 끊어버리고, 그것을 무기로 삼아 주먹에 거머쥐고, 제약회사의 식민화에 앞장서는 모든 악령을 후려칠 때를 기다려온 사람들이 눈을 뜨고 있다. 이 착취의 메커니즘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바로 정신장애 당사자들 아닐까.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