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원 상담 지방고용노동청 직원들, 우울증 진단 2배 증가...진료 기록 안 남는 상담도 50% 늘어나
민원 상담 지방고용노동청 직원들, 우울증 진단 2배 증가...진료 기록 안 남는 상담도 50% 늘어나
  • 김근영 기자
  • 승인 2022.10.12 2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무원·공무직·기간제 구분 없이 스트레스 장애진단 3~4배 ↑
경기·강원도 관할 중부청 직원들 정신질환 사례 가장 많아
이은주 의원 “노동행정 서비스 원활히 제공하게 부처들 지원해야”
이은주 정의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이은주 정의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민원을 담당하는 지방고용노동청 직원들의 정신질환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스트레스성 장애 및 우울증 진단을 받은 직원이 2배 이상 증가했으며, 보건일반상담을 받은 직원도 50% 증가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은주 정의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의뢰해 최근 5년간 고용노동부 소속 지방청 및 고객상담센터 직원 중 스트레스성 장애(F43), 우울증(F32‧F33), 보건일반상담(Z71.9) 등 특정상병코드별 진료인원을 분석한 결과다.

스트레스성 장애를 겪고 있는 인원은 2017년 48명에서 2021년 164명으로 3.4배 증가했다. 또 우울증을 진단받은 인원은 2017년 6명, 2018년 14명, 2019년 9명, 2020년 13명, 2021년 10명으로 매해 10명 안팎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약물처방을 받지 않고 정신과에서 상담이나 건강관리 등 보건서비스를 받는 보건일반상담(Z코드) 인원도 2017년 32명에서 2021년 48명으로 1.5배 증가했다.

진료인원 현황을 공무원과 공무직 및 기간제 직원(이하 공무직 등)으로 나눠서 살펴보면 스트레스성 장애 진단 인원은 공무원의 경우 2017년 34명에서 2021년 109명으로 3배 가량 증가했다. 공무직 등은 동기간 14명에서 55명으로 4배 증가했다.

우울증의 경우 공무원은 매해 1~2명 가량 진단받고 있으며, 공무직 등은 2017년 5명에서 2020년 13명까지 증가했다가 2021명 8명으로 감소했다.

보건일반상담 환자의 경우 공무원은 2017년 28명에서 2021명 39명까지 증가했으며, 공무직 등의 경우 2017년 4명에서 2018년 12명으로 크게 증가한 후 2021년 9명으로 해마다 10명 가량을 유지하고 있었다.

자료=이은주 의원실.
자료=이은주 의원실.

지역별로 보면 중부청 소속 직원들의 스트레스성 장애, 우울증, 보건일반상담 진료가 많았다. 중부청은 경기도와 강원도를 소관지역으로 하고 있어 관할지역도 넓고 직원수도 가장 많다. 이어 서울청, 부산청, 광주청, 대구청, 상담센터, 대전청 순이었다. 대전청은 각 증상에 대한 진료를 받은 공무원이 한 명도 없었다.

각각의 지방고용노동청에는 고용복지플러스센터, 근로감독부서, 산재예방부서 등 대민상담기능을 하는 조직과 행정사무부서가 한 공간에서 운영되고 있다. 공무원과 공무직 및 기간제 직원 등이 함께 근무하며 근로감독 및 산재예방 활동을 포함해 대민상담, 민원 업무 등을 병행하고 있다. 또한 각 지청별로 편차는 있지만 공무원이 공무직 등에 비해 평균 2~3배 가량 인원이 많다.

현재 고용노동부는 개인상담, 집단프로그램, 스트레스 검사 등을 통해 직원들의 심리적‧정신적 안정을 지원하는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을 운영하고 있다. 또 힐링 프로그램 운영, 종합검진 및 정밀검사비 지원, 민원업무수당 지급, 대민업무 직원 포상 등을 통해 대민상담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을 지원하고 있다.

이 중 EAP는 최근 5년간 평균 600회 정도 규모로 꾸준히 운영된 반면 힐링프로그램은 2017년 1천156명이 참여했지만 2020년 224명, 2021년 376명으로 줄고 있는 상황이다.

이 의원은 “대민 상담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은 행정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를 들어주고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그 과정에서 적지않은 스트레스를 받고 우울증 등 질병을 얻기도 한다”라며 “직원들의 건강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대국민 노동행정 서비스가 원활히 제공될 수 있도록 부처에서 적극적으로 지원방안을 운영하고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