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교권’에 교사 4명 중 1명꼴로 정신과 상담치료...10명 중 8명은 사직 고민
‘무너진 교권’에 교사 4명 중 1명꼴로 정신과 상담치료...10명 중 8명은 사직 고민
  • 박종언 기자
  • 승인 2023.05.11 18: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사노조 조합원 11000명 대상 조사...87%가 사직 고민해
교권 침해로 정신과 치료 26% 경험...교직생활 불만족 68%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교사 10명 중 8명 이상이 최근 1년 새 이직이나 사직을 고민했으며 교권 침해로 인해 4명 중 1명은 정신과 치료 또는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노동조합연맹(교사노조)은 조합원 1만1377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0∼28일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최근 1년간 이직 또는 사직(의원면직)을 고민한 적이 있다고 답한 교사가 87.0%(거의 매일 25.9%, 종종 33.5%, 가끔 27.6%)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교직 생활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답변도 68.4%였다.

또 최근 5년 동안 교권 침해로 정신과 치료나 상담을 받은 교사는 26.6%로 나타났다. 교육활동 중 아동학대로 신고당한 경험이 있는 교사도 5.7%로 집계됐다.

교사들은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위해 시급하게 해결돼야 할 과제로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처벌 등 법률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 방지 대책 수립`(38.2%)을 1순위로 꼽았다. 2순위는 `교원의 경제적 보상 현실화`(33.5%)였다.

현장 고충이 커지는 만큼 부장교사를 희망하지 않는다는 답변도 91.3%에 달했다. 이유로는 `과도한 업무에 비해 보직 수당이 낮음`(39.2%)을 꼽았고, 이어 `과도한 업무와 무거운 책임`(28.3%)이라고 답했다.

담임을 기피하는 원인으로는 `학부모 민원 및 상담을 감당하기 부담스럽고`(33.0%), `학교 폭력과 무고성 아동학대 고소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기 때문`(32.4%)이라고 답했다.

또한 정부 정책에서 현장 교사 의견이 잘 반영되냐는 질문에는 96.3%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현 정부 교육 정책을 학점으로 평가해달라는 항목에는 F를 준 교사가 72.1%나 됐다.

교직 10년 차 이하 청년 교사들도 정부 교육 정책에 F를 준 응답률이 71.1%에 달했다.

청년 교사들은 교원 정책의 문제로 ▲`실질임금 감소`(85.4%) ▲`교사의 교육권 확보`(76.1%) ▲연금 개악(55.0%) ▲교원 정원 축소(35.2%) 등을 꼽았다.

또 75.7%는 임금에 만족하지 못했다. 이들의 79.8%는 물가 인상률을 반영한 기본급 10% 인상을, 73.9%는 담임 수당 등 각종 수당 인상을 요구했다.

연금 관련 항목에서 청년 교사 88.6%가 현재보다 더 많은 공무원 연금을 요구했다. 55.6%는 현재 65세인 연금 지급 연령을 62세로 낮춰야 한다는 의견에 찬성했다.

청년 교사들도 교권 침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로부터 교원의 보호받을 권리 확보`(83.8%) ▲`교원의 실질적인 생활지도권 확보를 위한 교육부 교권 침해 매뉴얼 생산`(70.6%) ▲`심각한 교육활동 방해를 일으키는 정서ㆍ행동 위기 학생을 지원하는 제도`(62.2%) 등이 필요하다 답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