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이 만든 소득과 정신건강의 불평등...소득 최하 계층의 우울증·자살생각 증폭
코로나 팬데믹이 만든 소득과 정신건강의 불평등...소득 최하 계층의 우울증·자살생각 증폭
  • 박종언 기자
  • 승인 2023.03.23 20: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연구원,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에게 평등하지 않았다’ 발간
우울증상 유병률 소득 최하위 계층 32.8%, 최상위 13.4%로 2.4배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가 가난한 계층의 우울증과 자살생각을 극단적으로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소득 최하위 계층과 최상위 계층 국민 간 코로나19로 인한 우울증상 유병률이 2.4배, 자살생각 경험은 3.6배에 달해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 위험도가 극명하게 갈렸다.

이번 조사는 경기연구원이 지난 2021년 3월 22~23일 양일간 전국 17개 시·도 2천 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정신건강 불평등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에게 평등하지 않았다’ 보고서가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우울증상 유병률은 월평균 가구소득이 100만 원 미만인 소득 최하위 계층(32.8%)과 500만 원 이상인 최상위 계층(13.4%)의 격차가 두 배를 넘었다. 불안장애의 경우 각각 46.5%, 27.9%로 18.6%p의 격차를 보였다.

팬데믹으로 인해 자살을 생각한 비율은 최하위 계층이 24.1%로 나타내 최상위 계층(6.7%) 대비 3.6배 많았다.

특히 1인가구의 위험이 더 높았다. 우울증상 유병률은 2인 이상 가구가 17.2%인데 반해 1인가구는 21.6%로 4.4%p의 격차를 보였다. 남성의 경우 2인 이상 가구일 때 14.5%인 반면 1인가구는 22.9%로 나타났다. 격차가 1.6배에 이른다.

팬데믹으로 인해 자살생각을 한 비율은 1인가구가 13.5%, 2인 이상 가구 7.7%로 1.8배의 격차를 보였다.

보고서는 팬데믹 기간 동안 우리 사회에 만연했던 낙인 인식도 심리적 고통을 가중시켰다고 분석했다.

이미지=경기연구원 보도자료 갈무리.
이미지=경기연구원 보도자료 갈무리.

우리 사회가 확진자에 대한 낙인 인식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의 우울증상 유병률은 8.9%인 반면, ‘다소 있다’ 응답 집단 17.5%, ‘매우 심함’ 응답 집단 39.1%로 4.4배의 격차를 보였다.

불안장애의 경우 낙인 인식이 ‘없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유병률은 18.7%인데, ‘다소 있다’ 응답 집단의 유병률은 32.7%, ‘매우 심한’ 응답 집단은 56.3%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감염병 재난으로 인한 정신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에 대한 ‘우선적 중재 프로그램’의 마련 ▲정신건강 인프라에 대한 취약계층들의 물리적·심리적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찾아가는 심리지원 서비스’의 제공 ▲팬데믹에 대한 부정적 편견과 낙인 인식을 해소하는 정책 등을 제시했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팬데믹이 발생했을 때 국민 정신건강 위험이 전염병처럼 확산되는 멘탈데믹(mentaldemic)에 대비해야 한다”며 “신종 감염병에 대한 불필요한 편견과 공포의 확산을 방지하고 우리 사회의 약자들과 취약계층들의 형편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