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이 쏘아올린 깊은 슬픔들...극단적 선택, 젊은 층 중심으로 급격히 증가
우울증이 쏘아올린 깊은 슬픔들...극단적 선택, 젊은 층 중심으로 급격히 증가
  • 박종언 기자
  • 승인 2022.10.21 18:08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자살자 1만3000여 명 중 정신질환 인한 자살 5200여 명
경제적 기반 취약한 20대와 60대 이상에서 극단 선택 사례 많아
오영환 의원 “정신과 치료에 대한 사회적 저항선을 낮춰야”
오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오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우울증 등 정신적 어려움을 이유로 극단적인 선택을 한 이들이 지난해 5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이 같은 현상이 급속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정신과 진료를 기피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이들의 정신과 이용률은 여전히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정신과 진료의 문턱을 낮추는 한편 ‘정신질환도 질병의 하나일 뿐’이라는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최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오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연령대별 자살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극단적 선택을 한 이들은 전년(1만2776명)보다 3.4% 늘어난 1만3205명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인 사유로는 ‘정신적·정신과적 문제’를 이유로 극단적 선택을 한 이들이 지난해 5258명이었다. 이는 전년(2020년) 4905명 대비 7.2% 증가한 수치로 전체 극단적 선택 증가율의 2배를 웃도는 수치다.

최근 5년간 ‘정신적·정신과적 문제’를 이유로 극단적 선택을 한 이들은 2017년 3939명, 2018년 4171명, 2019년 4638명 순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우리 사회의 정신 건강에 적신호 경고음이 들어왔음을 의미한다.

특히 최근 2년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청소년 세대에서 정신적 문제로 인한 극단적 선택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20세의 경우 지난 2019년 183명에서 2020년 231명, 2021년 256명으로 늘어났다. 연간 증가율로는 각각 26.2%, 10.8%에 달했다.

더불어 경제적 기반이 취약한 20대와 60대 이상에서도 정신적 문제로 인한 극단적 선택이 많았다.

21∼30세는 2019년 599명에서 2020년 773명, 2021년 888명으로 늘어나 각각 29.1%, 14.9%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61세 이상에서도 같은 기간 1469명, 1504명, 1626명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에 다른 연령대에서는 같은 기간 정신적 문제로 인한 극단적 선택이 소폭 증가하거나 오히려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31∼40세의 경우 2019년 720명에서 2020년 713명으로 오히려 감소하다가 지난해 737명으로 약간 늘었다. 41∼50세 역시 779명에서 815명으로 늘었다가 지난해는 799명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51∼60세도 885명, 868명, 962명으로 집계됐다.

오 의원은 “학업, 취업 현장에서의 극심한 압박감이 10~20대의 우울증으로 이어지고 있다”라며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구조적 문제들을 우리 사회가 함께 점검하고, 해결해나가야 한다”라고 전했다.

이어 “정신과 치료에 대한 사회적 저항선을 낮추고, 조기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누구든 편견 없이 병원을 찾을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영희 2022-10-22 04:24:04
소중한 생명을 던지는 자살. 예방에 범국가적 적극적 대응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