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실업자 열에 넷이 “실업 사유는 코로나 탓”...우울지수도 높아
체감실업자 열에 넷이 “실업 사유는 코로나 탓”...우울지수도 높아
  • 김근영 기자
  • 승인 2023.05.23 2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 연구팀 조사...“실업자 정신건강 증진 강화 절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지난 1년간 추가 실직을 경험한 실업자 40%는 실직 사유가 코로나19와 관련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우울 점수는 일반인구 집단보다 높았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팀은 국내 체감실업자의 실직 경험과 건강 및 웰빙에 대한 추적조사를 실시해 23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결과를 발표했다. 

체감실업자는 단순 실업자뿐만 아니라 취업을 준비하거나 불완전한 고용 상태에 있는 사람들을 포함한 개념이다. 주 36시간 미만 근무하며 추가 취업을 준비하는 ‘부분 실업자’, 비경제활동 인구 중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으나 취업을 희망하는 ‘잠재구직자’도 포함한다. 

조사는 지난해 3월 1차 조사에 참여했던 만 19세 이상 체감실업자 717명 중 500명이 4월에 실시한 2차 조사에 이어 참여했다. 

추적조사 결과 1년 전 체감실업자 중 현재 취업에 성공한 사람은 38.6%였고, 이들 중 42.2%는 현대도 체감실업 상태였다. 

지난 1년간 한 번이라도 추가 실직을 경험한 사람은 전체의 36.2%였으며 이들 중 40.3%는 실직이 코로나19와 직·간접적 관련이 있다고 답했다. 

1년 전 조사에서는 코로나19와 관련된 이유로 지난 1년간 실직했다는 응답이 27.1%였던 점을 감안하면 1년 새 13.2%포인트 늘었다. 

추가 실직을 경험한 사람들의 정신건강도 더 취약했다. 

추가 실직 경험자의 우울 점수는 남성이 평균 7.98점, 여성 10.40점으로 추가 실직 경험이 없는 이들(남성 7.37점, 여성 8.92점)보다 높았다. 우울 점수 10점 이상이면 우울증 수준이다. 

전체 조사 대상자 중 29.2%는 지난 1년간 심각하게 극단적 선택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그중 여성이면서 추가 실직을 경험한 이들의 경우 그 비율이 39.6%에 달했다. 

유명순 교수는 “방역 상황이 나아졌음에도 지난 1년간 일을 그만둔 사유가 코로나19 상황과 관련이 있다는 응답률은 더 높아졌다”며 “코로나19 회복 과정에서 체감실업자들에 대한 정신건강 증진 노력의 강화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