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고민 유형 1위는 ‘정신건강‘ 문제...사망 원인은 ‘자살’이 가장 많아
청소년 고민 유형 1위는 ‘정신건강‘ 문제...사망 원인은 ‘자살’이 가장 많아
  • 박종언 기자
  • 승인 2023.05.31 20: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성가족부, 청소년 통계 발표...자아존중감은 78%가 ’그렇다‘ 응답
10명 중 4명은 1년간 우울감 경험...고민 상담 대상은 ’친구‘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대체로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청소년 상담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상담유형은 정신건강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가 31일 발표한 2023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9~24세 청소년 인구는 791만3000명으로 총인구의 15.3%를 차지한다. 다문화 학생은 3.2%였다.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평가에서 10명 중 9명은 자신의 신체가 건강한 편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건강한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90.3%, 중학교 84.8%, 고등학교 81.6%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건강이 좋다고 평가하는 비중은 감소했다.

이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7.2시간으로 초등생 8.6시간, 중학생 7.0시간, 고등학생 5.9시간으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수면 시간이 짧았다.

스트레스와 우울의 경우 중고등학생 10병 중 4명은 평상시 스트레스를 느끼며 이중 28.7%는 최근 1년 내 우울감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성별로 여학생(33.5%)이 남학생(24.2%)보다 높게 나타났다.

2021년 청소년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1.3%(24명) 증가한 1천933명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60.9%(1천178명), 여자가 39.1%(755명)였다.

2010년 조사에서는 청소년 사망원인의 1위는 안전사고였지만 2011년 이후 고의적 자해(자살)가 1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초·중·고생의 88.2%는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기를 원했다. 이유로는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서’가 62.4%로 가장 많았고 이어 ‘능력과 소질 개발’ 28.0%, ‘주위의 기대 때문에’ 3.4%로 각각 나타났다.

이들이 공부를 하는 이유는 ‘미래의 나를 위해 필요해서’(79.7%)가 가장 높았으며 ‘하지 않으면 혼나거나 벌을 받아서’라고 답변한 비율은 14.4%로 가장 낮았다.

인권 의식과 관련해 초·중·고생의 97.3%는 가정형편이 어렵다고 차별해서는 안 되며, 94.5%는 외국인에게도 동일한 교육 기회가 제공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명 중 7명(69.5%)은 청소년이 결정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부모님이나 선생님의 생각에 따라야 한다는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또 96.3%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을 언제나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표현의 자유에 대한 긍정 의식은 2017년 이후부터 지속 상승해 95% 이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10명 중 4명(40.1%)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여자(41.1%)가 남자(39.3%)보다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중이 높았다. 학교급별로는 중학생이 45.4%로 과의존 위험에 가장 취약했고 이어 초등학생(37.6%), 고등학생(36.6%) 순이었다.

또 청소년 5명 중 4명(78.5%)은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대해 만족한다고 답했다. 이는 2020년 대비 5.0% 증가한 수치다. 이중 자기 부모와의 관계 만족도가 80.8%로 가장 높았고 형제자매와의 관계(73.2%) 순이었다.

자아존중감은 긍정적이었다. 스스로 가치 있는 사람이라 생각하는 비중은 76.8%, 성품이 좋은 사람 72.4%, 나를 긍정적으로 생각은 73.7%, 나 자신에게 만족한다는 비중은 65.6%로 각각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고민하는 문제는 공부가 31.7%로 가장 높았고 직업(26.7%), 외모(10.6%) 순이었다. 고민 상담의 대상은 친구와 동료가 43.7%로 가장 많았고 부모(29.7%), 스스로 해결(18.1%), 형제자매(4.8%) 순이었다.

특히 고민 상담 유형은 정신건강(24.5%)이 가장 많았고 정보제공(19.2%), 대인관계(15.4%), 학업진로(9.9%) 순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